DMZ 뉴스
-
문화창조융합벨트로 문화콘텐츠산업 ‘빅뱅’ 이룬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한 ‘문화창조융합벨트’가 출범한다. 2017년까지 융복합 콘텐츠가 기획-제작-구현-재투자되는 선순환 체계가 마련된다. 영상ㆍ음악ㆍ패션ㆍ음식 등 문화콘텐츠산업 전 분야에 걸친 민ㆍ관 협력이 이루어진다. 또한 일산에 1조원 규모의 글로벌 문화콘텐츠 구현 거점이 건설되며, 2600억원의 문화콘텐츠 지원 투ㆍ융자 펀드도 조성된다. 11일 서울 상암동 CJ E&M 센터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이같은 내용 등이 포함된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식’이 열렸다. 박근혜 대통령이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M센터에서 열린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식에서 출범 기념 점등판에 점등 톱니바퀴를 꽂은 뒤 박수치고 있다.(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문화창조융합벨트는 문화콘텐츠 분야 최초로 64개 대표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문화창조융합센터와 문화창조벤처단지, 문화창조아카데미, K-컬쳐밸리 등을 거점으로 2017년까지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신시장 창출로 이어지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빅뱅’을 이루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문화창조융합벨트로 창조경제의 핵심인 문화콘텐츠산업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지금까지의 제조업과 ICT 등 ‘기술’ 중심의 창조경제에서, ’문화’ 콘텐츠산업으로까지 창조경제의 폭과 깊이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출범식에서 “문화콘텐츠산업은 상상력과 아이디어가 곧 상품이 되는 창조경제의 대표산업이며 관광, 의료, 교육, 제조업 등 다른 산업에 창조적 영감을 불어넣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21세기 연금술’”이라고 문화콘텐츠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우리 정부는 문화융성을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내세워 국가 미래성장 동력의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며 “저는 문화산업이 우리 미래성장동력의 핵심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 ‘문화융성’ 위한 문화콘텐츠업계-정부ㆍ유관기관 역량 결집 영상ㆍ음악ㆍ패션ㆍ음식ㆍ게임 등 문화콘텐츠 전 분야의 대표기업과 기관 64곳이 참여하는 콘텐츠 분야 최대 규모의 다자간 MOU가 체결됐다. 참여 기업은 영화ㆍ영상분야의 롯데시네마, 쇼박스, CJ E&M, 음악ㆍ공연분야의 SM, YG, JYP, 패션분야의 제일모직, LF, 음식분야의 신세계푸드, 제네시스, CJ푸드빌, 플랫폼ㆍ게임분야의 네이버ㆍ다음카카오ㆍ넥슨코리아ㆍ넷마블게임즈 등이다. 정부 등에서는 문체부ㆍ금융위ㆍ중기청ㆍ문화융성위, 한국콘텐츠진흥원ㆍKOTRAㆍ정책금융기관 등 문화콘텐츠의 기획ㆍ사업화를 지원하는 모든 공공부문이 참여했다. 이날 출범식에서는 4개 분야 8건의 MOU가 체결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M센터에서 열린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식에서 연습중인 창작 뮤지컬 배우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먼저, 19개 기관이 참여해 문화창조융합벨트 구축, 문화창조융합센터ㆍ문화창조벤처단지ㆍ문화창조아카데미ㆍ(가칭)K-Culture Valley 조성 및 운영을 위한 MOU 체결가 체결됐다. 또한 41개 기관이 문화창조융합벨트 운영을 위한 협력 MOU를 체결했다. 영상ㆍ미디어, 공연ㆍ음악, 패션, 뷰티, 음식, 플랫폼ㆍ게임 등 문화산업분야별 대표기업과 유관기관,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지역혁신기관이 참여했다. 이어 5개 기관이 대표 한류 융복합 콘텐츠 개발 및 사업화 시범사업 MOU를 체결했으며, 12개 기관이 문화콘텐츠 분야 유망프로젝트 및 창업ㆍ벤처기업 금융지원 MOU를 체결해 2600억원 규모의 투융자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 문화콘텐츠 선순환 생태계 ‘문화창조융합벨트’ 구축 2017년까지 융복합 문화콘텐츠의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인재육성 ㆍR&D)가 이루어지는 선순환 구조인 ‘문화창조융합벨트’를 구축한다. 문화콘텐츠 산업의 가치사슬에서 약한 고리를 집중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거점을 순차적으로 구축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를 기획ㆍ개발하는 ‘문화창조융합센터’를 상암 CJ E&M센터 1,2층에 개소했다. 융복합 콘텐츠 기획에 필요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스토리, 기존 창작물(콘텐츠), 글로벌 문화트렌드 등에 대한 집적된 DB를 제공하며, 분야별 최고전문가의 1:1 멘토링을 지원한다. 또한 창작자들이 갖추기 힘든 실제 상업용 콘텐츠 제작에 사용되는 전문 장비와 시설을 제공해 완성도 높은 시제품 제작을 지원한다. 이어 올해 말까지 서울 중구 한국관광공사 건물에 콘텐츠 제작과 사업화를 담당하는 ‘문화창조벤처단지’를 개소한다.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ㆍ벤처기업들이 모여 공동 프로젝트 추진 등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사무실과 제작시설을 제공하고, 제작된 콘텐츠의 투자유치 및 해외진출 지원을 원스톱으로 실시한다. 나아가 법률ㆍ컨설팅ㆍ홍보 등 지원 범위를 점차 확대해간다. 내년말에는 서울 홍릉 산업연구원 부지에 R&D와 인재육성을 위한 ‘문화창조아카데미’를 개소한다. 그리고 2017년말 콘텐츠를 구현할 거점으로 가칭 ‘K-Culture Valley’를 조성한다. 경기도, 고양시 및 CJ가 주도하는 민간 컨소시엄이 공동으로 약 1조원(부지가격포함, 약 10만평)을 투자해 대규모 한류 콘텐츠 구현 거점을 조성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M센터에서 열린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식에서 '모션 스튜디오'를 둘러보고 있다. 왼쪽은 댄서 김광수씨 .(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예를 들어 ‘태양의 서커스’, ‘난타’와 같은 융복합 공연을 위해 특화된 국내 최대 규모(약 1500석)의 맞춤형 융복합 공연장을 조성한다. 영화ㆍ드라마 등 콘텐츠 제작ㆍ생산이 이루어지는 스튜디오 및 주요장면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한류콘텐츠파크 조성으로 문화생태계도 구현한다. 아울러 한류 콘텐츠를 접목한 숙박ㆍ식음료ㆍ상품판매 시설을 조성해 글로벌 한류 체험 공간(한류스트리트)을 마련해 향후 10년간 총 25조원의 직간접 경제효과와 17만명의 고용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해 문화융성위 산하에 민관 합동 ‘문화창조경제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문화창조융합벨트를 총괄 기획ㆍ구축할 계획이다. ◇ 타 문화콘텐츠 시설ㆍ창조경제혁신센터 연계…‘열린 생태계’ 조성 문화창조융합센터를 전국의 다양한 문화콘텐츠 기업ㆍ육성기관 및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 융복합 콘텐츠 기획의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코리아랩의 아마츄어 육성과정을 마친 유망 창작자를 문화창조융합센터의 준전문가 대상 콘텐츠 기획 지원과정으로 연계한다. 또한 영상ㆍ음악ㆍ패션ㆍ음식ㆍ게임 등 다양한 분야의 멘토링 수요는 문화창조융합벨트에 참여하는 각 분야 대표기업과 협력(전문가/전문시설 연계)해 지원한다. 문화창조벤처단지와 문화창조아카데미도 각각 민간 법률ㆍ특허ㆍ컨설팅ㆍ홍보 등 서비스 집적과 민간 기업ㆍ연구기관과의 협업으로 기능을 강화한다. 문화콘텐츠 구현거점도 (가칭)K-Culture Valley 뿐 아니라, (가칭)제주 중문단지 융복합공연장(2018년) 등 민관이 조성하는 다양한 콘텐츠 구현시설과 연계해 문화콘텐츠 관광 프로그램화하는 등 시너지를 제고 ◇ 2600억원 펀드 조성…유망 문화콘텐츠 프로젝트 및 창업ㆍ벤처 육성 유망 문화콘텐츠 프로젝트와 창업, 벤처 기업 육성을 위해 2600억원 규모의 투융자 펀드를 구성, 운영한다.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은 문화콘텐츠 기업 성장 단계별로 연간 2,000억원 지원한다. 한편, 박 대통령은 출범식을 마치고 문화창조융합센터장(신형관)의 안내에 따라 센터내 디지털 미디어라이브러리, 크리에이티브 라운지, 버추얼센터, 모션 스튜디오, 탤런트 스튜디오 등의 주요 시설을 점검하고 관계자 격려했다. [자료제공 :(www.korea.kr))]
- 관리자
- 201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