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길·섬
-
마을·길·섬
1/2
-
-
자연 속에서 즐기는 편안한 휴식과 다양한 볼거리, 덕포진 누리마을 덕포진 누리마을은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일원에 조성되는 테마마을이다. 마을 고유의 자연환경과 생태, 문화재 등을 활용하여 마을을 찾는 이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쉴 곳을 제공하고, 자연 속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마을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우선 덕포진 누리센터가 조성된다. 2015년 완공 예정으로 풍경카페와 농산물공동판매장이 자리잡을 예정이다. 2014년 완공 예정인 힐링포레스트는 여가를 위한 맞춤 공간이다. 이곳에는 문화쉼터 공원, 캠핑장, 야외 갤러리, 카라반 등이 들어서게 된다. 정보제공행정안전부
- 조회수7,329
- 공유수0
- 댓글수0
[김포] 덕포진 누리마을
-
양구 백토마을, 600년 넘는 역사를 간직한 양구의 백자 문화를 재현하다 양구군은 예로부터 도자기 생산지로 주목받았던 곳이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고려시대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600년 넘게 백자 생산을 지속했던, 한국 도자기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곳이다. 양질의 백토가 매장되어 있어 조선시대에는 왕실 백자 생산을 위한 주요 백토 공급지였다. 양구 백토마을은 양구 지역의 백자 문화를 재현하고, 금강산에서 발원하는 수입천과 두타연 등 접경지역 특유의 깨끗하고 수려한 자연이 연계된 양구군의 또 다른 명소로 발돋움을 준비를 하고 있다. 백토마을에서는 입주 작가들이 예술적 가치가 높은 백자를 생산할 수 있도록 작가동을 건설하고, 전통 방식의 백토 가공 설비인 물방아와 수비 시설을 갖추는 등 양구 백토의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양구 백토를 직접 체험하고 주변의 자연경관과 함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카페도 들어설 예정이다. 주변에 위치한 양구 백자박물관에서도 양구 백토와 관련된 체험을 할 수 있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정보제공행정안전부
- 조회수8,962
- 공유수0
- 댓글수0
[양구] 백토마을
-
고려산 진달래 축제로 유명한 강화군 국정마을, 테마 숲길 조성으로 새롭게 태어나다 고재형의 저서 『심도기행』에 따르면 ‘강화부 서쪽에 국정촌이 이어져 신씨와 한씨가 정착했으며 복숭아, 배, 감이 골짜기에 그윽하여 밭 갈고 책 읽는 삶이 영원토록 변치 않는다’라는 내용으로 국정마을을 소개하고 있다. 고려산 진달래축제로 유명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국정마을이 대대적인 환경 개선과 역사문화 스토리텔링 사업을 통해 새로운 테마마을로 탈바꿈한다. 마을 주변으로는 둘레길을 개발하여 진달래길, 매봉산오름길, 나뭇꾼길, 감나무길 등을 조성하고, 마을 사인물을 통합설치하고 상업광고물을 정비하는 등 더욱 깨끗하고 보기 좋은 마을 환경을 만들고 있다. 마을의 테마 식품을 개발하고 농가민박을 지원하는 등 주민들의 소득 증대와 여행객 편의를 위한 환경 조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정보제공행정안전부
- 조회수6,599
- 공유수1
- 댓글수0
[강화] 국정마을
-
도시 안에서 농촌의 푸근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도시와 농촌 사이, 김포 매화미르마을 김포시 월곶면 용강리에 위치한 매화미르마을은 도시와 가깝지만 왕래가 쉽지 않은 민통선 안 청정마을로 멸종위기종으로 알려진 매화마름 국내 최대 서식지이다. 현재는 없어졌지만 군사적 요충지였던 강녕포구 자리가 있기도 했으며, 천연기념물 제205호인 저어새의 도래지 유도(留島)와 개성시 개풍군과 마주하고 있다. 마을에 있는 용못은 겨울에도 얼지 않으며 용이 승천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용못은 마을의 젖줄이며 기름진 땅과 풍요로움의 근원이기도 하다. 마을 앞쪽으로 조강이 변함없는 고요함으로 흐르고 있다. 찾아뵐 때마다 늘 웃음으로 반겨주셨던 할아버지, 할머니와 같은 편안함으로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있는 매화미르마을. 낯섬과 낯설지 않음이 공존하는 이곳에서 그립고 건강한 농촌의 정취를 마음에 담아보도록 하자. 정보제공행정안전부, 김포 매화미르마을
- 조회수10,720
- 공유수4
- 댓글수0
[김포] 매화미르마을
-
왕족들의 유배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돌아오지 않는 섬’교동도의 원래 이름은 ‘대운도(戴雲島)’이다. 고림(高林)또는 달을신(達乙新)이라고도 불렀으나, 고구려 때 처음으로 현(縣)을 두어 고목근현(高木根縣)이라 하고, 신라 경덕왕때 교동현이라 한 것이 오늘에까지 이르렀다. 교동도는 우리나라에서 14번째로 큰 섬이다. 서북쪽으로 불과 5Km 밖의 바다를 사이에 두고 북한과 인접해 있어 황해도 연백군이 눈앞에 보이는 곳이기도 하다. 때문에 한때 민간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기도 했다. 교동도는 서울과 가까우면서도 주변 바다의 조류가 급하고 배들의 접근이 어려워 왕족들의 귀양지로 이용되었던 역사가 있다. 안평대군, 연산군, 광해군, 영창대군, 능창대군, 폐세자빈 박씨 등의 왕족들이 이곳에 유배되었고 이후 살아나가지 못해 ‘돌아오지 않는 섬’으로 불리기도 했다. 섬치고는 곳곳에 비옥한 평야가 펼쳐져있어 어촌보다 농촌의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교동도에서는 쌀, 콩, 마늘, 고추 등이 생산되고 있으며, 연안의 꽃게와 새우, 숭어도 유명하다. 굴양식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왕족들의 유배지로 이용되었던 역사적 특수성이 담겨있는 교동도에서는 근대문화공간조성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동면 대룡리와 고구리 일원에 각종 역사적 전시시설과 주차장 등을 조성하여 교동도를 찾은 여행객들이 교동도의 역사를 더욱 가까이 느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정보제공강화군청, 행정안전부
- 조회수13,826
- 공유수1
- 댓글수0
[강화] 교동도
-
천연기념물 제330호 수달의 생태를 살펴볼 수 있는 청정지역, 파로호 수달마을 국내에서 보기 드문 수달은 천연기념물 제330호이자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이기도 하다. 화천군 간동면에 세워진 한국수달연구센터에서는 수달의 보존과 증식,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수달생태공원이자 전문연구기관이다. 파로호 수달마을은 파로호와 병풍산, 죽엽산으로 둘러싸여 외지인의 왕래가 적은 지역이었으나 한국수달연구센터가 개원하면서 학술, 여행, 체험 등을 위해 방문하는 여행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수달마을 BI를 구축하고 마을 옛길을 복원하는 등 마을 정비에 힘쓰고 있으며, 마을의 상징인 수달을 브랜드화하여 마을 이미지를 개선하고 친환경 농산물과 임산물을 상품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보제공행정안전부
- 조회수10,464
- 공유수1
- 댓글수0
[화천] 파로호 수달마을
-
두루미가 힘차게 날개짓하는 철새들의 보금자리이자 철원 오대쌀의 주산지 신철원에서 서북쪽으로 15Km. DMZ와 맞닿아 있는 두루미평화생태마을은 6.25 전쟁으로 인해 황무지가 된 민통선 지역을 농민들의 힘겨운 노력으로 개척한 향군마을이다. 낮에는 농사를 짓고, 밤에는 보초를 서면서 지켜낸 마을로 백마고지 전적비, 월정리역, 철원 노동당사, 철의 삼각전망대 등 철원의 대표적인 안보 여행지들과 인접해 있다. 또한 환경부가 지정한 청정지역으로서 철원 오대쌀의 주산지이기도 하다. 친환경 농법으로 생산된 오대쌀이며 백마고지 느타리버섯, 백마고지 오이, 백마고지 삼지구엽초, 백마고지 벌꿀 등을 재배하고 있다. 두루미평화생태마을에서는 마을의 특성을 살려 백마고지 오대쌀의 재배과정과 생산과정 등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두고 있다. 또한 마을의 역사가 담겨있는 황무지 개척과정을 묘사한 지뢰찾기 체험, 천막체험, 병영체험 등도 즐길 수 있고, 두루미와 독수리, 청둥오리, 박새 등 마을을 찾는 새들의 자연생태를 관찰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다. 정보제공행정안전부, 두루미평화생태마을
- 조회수11,609
- 공유수0
- 댓글수0
[철원] 두루미평화생태마을
-
드라마 <전원일기> 의 추억이 솔솔 피어나는 양주 삼하리 전원일기마을 삼하리 전원일기 마을은 긴 시간 안방극장을 따뜻한 온기로 채워줬던 드라마 <전원일기>가 촬영되었던 곳이다. <전원일기>의 추억이 남아있는 이 마을은 이제 일상에 지친 도시인들에게 휴식과 치유를 전달하는 향기로운 마을로 거듭나고 있다. 전원일기 피크닉장, 농산물판매장, 산책로와 휴식공간, 전통놀이마당 등이 조성되고 있으며, 이야기상자와 나눔센터 건물에 <전원일기> 출연자들의 모형을 실물 크기로 제작하여 여행객들이 사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갈 예정이다. 향후 산사나무, 산수유, 배롱나무 등 마을 곳곳에 다양한 나무들을 심어 녹지공간을 늘려나갈 계획이며, 마을 길을 정비하는 작업도 한창 진행중이다. 정보제공행정안전부
- 조회수10,711
- 공유수0
- 댓글수0
[양주] 삼하리 전원일기마을
-